카테고리 없음 / / 2023. 5. 10. 22:48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연말정산 세액공제, 참여 방법

반응형

고향에 기부도 하고 세액공제와 답례품까지 받을 수 있는 고향사랑기부제가 2023년부터 새롭게 도입되었습니다. 고향의 발전에 기여하는 동시에 최대 150만 원의 답례품과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도 따라오는 아주 매력적인 제도의 자세한 베네핏과 참여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고향사랑기부제란?

고향사랑기부제

 

인구감소로 얼마 못 가 사라질 우리나라 도시들이 많다는 이야기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앞서 비슷한 상황을 겪은 일본에서 아주 크게 성공한 제도인 고향사랑기부제(일본에서는 고향납세제)를 우리나라도 2023년 올해부터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고향에 기부를 하면 해당 지자체에서는 기부자에게 답례품을 제공하고 국가에서는 세액공제를 해주는 제도로 지방의 재정자립도를 높이고 지방소멸을 막고자 하는 정책입니다. 

 

누구나 고향뿐 아니라 현재 주민등록 주소지가 아닌 전국 지자체에 연간 500만 원 한도로 기부할 수 있습니다. 기부는 최소 100원부터 가능하고, 10만 원 이하면 전액 세액공제, 10만 원 초과 시에는 16.5%가 공제됩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기부하면 10만 원 세액 공제, 초과분 90만 원의 16.5%인 148,000원을 합해 총 248,000원을 세액 공제받게 됩니다. 고향사랑기부제와 국세청 홈택스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기부영수증을 연말정산 시 등록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확인용 기부영수증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고향사랑기부제

 

또한 기부금 30%내(최대 150만 원)의 지역 특산품이 답례로 지급됩니다. 기부자는 지급받은 포인트로 본인이 원하는 답례품을 선택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만약 10만 원을 기부한다면 전액을 세액공제받고, 3만 원 상당의 답례품을 받게 되어 총 13만 원의 혜택을 누리게 됩니다.(위 표 참조) 이처럼 기부자는 세액 공제 혜택뿐 아니라 원하는 답례품을 받고, 지자체는 기부금을 예산으로 활용하고 답례품 유통으로 지역발전도 도모할 수 있는 선순환의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확인하기

고향사랑기부제

 

그렇다면 내가 받을 수 있는 답례품이 무엇일지가 궁금하실 텐데요, 지역에 따라 생활용품, 식품, 관광상품까지 아주 다양합니다. 자세하게는 템플스테이 이용권, 서핑강습권, 해산물, 밀키트, 디퓨저, 스카프 등 예상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다양성을 갖췄습니다. 기부한 지자체에서 만든 답례품만  아래 바로가기를 클릭하여 지역별 답례품을 조회해 보시거나, 원하는 답례품을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향사랑기부제 참여 방법

오프라인으로는 전국 농협지점을 방문하여 기부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평일 오전 9시 ~ 3시 30분) 하지만 농협지점에서는 기부까지만 가능하고, 답례품 선택은 온라인으로 해야합니다. 온라인 사용법에 대한 안내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사이트인 '고향사랑e음' 사용법은 아래의 바로가기를 클릭하여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