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3. 5. 18. 21:15

내 개인정보 유출여부 확인하기 -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

반응형

인터넷에 내 정보를 등록하고 편리한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는 만큼 개인정보가 노출되기 쉬운 세상입니다. 흩어져있는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보이스피싱, 사생활 침해, 명의 도용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운영하는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에 대해 소개드리겠습니다!

 

 

다크웹(특수 브라우저로 접속할 수 있어 추적이 불가한 웹) 등 음성화 사이트에서 내 정보가 유통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에서 개인정보 유출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 바로가기를 클릭하여 사이트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유출 여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직접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해서 오히려 이때 유출이 되는 것은 아닌지 의심이 될 수 있는데요, 입력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단순히 비교만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보관하지 않으므로 안심하셔도 됩니다. 순서대로 자세한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먼저 개인정보 수집 이용에 동의합니다.

 

2.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인증번호 발송 버튼을 누릅니다. 입력한 메일주소로 온 인증번호 입력하고 인증번호 확인을 클릭하면 계정탈취 방지를 위한 '로봇이 아닙니다' 란을 체크합니다. 

(좌)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 인증 화면        (우) 입력한 메일주소로 온 인증번호 메일

 

3. 본인이 사용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최대 10개까지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유출 여부 조회 결과가 나옵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암호화되어 대조용으로만 사용되고 정보가 저장되지 않으므로 안심하셔도 됩니다. 정보는 조회 후 즉시 파기됩니다.

4. 만약 유출된 정보가 있다면 그 즉시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5. 새로운 패스워드 생성 시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아래의 안전 패스워드 생성 팁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프라이버시클린서비스

1) 기억하기 쉬운 패스워드 만들기

ㅇ 특정 명칭을 선택하여 예측이 어렵도록 가공 

    (예)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홀수번째, 짝수번째 음절만 사용

ㅇ 노래 제목이나 명언, 속담, 가훈 등을 이용·가공  (예) 문장의 줄임말 사용

 

2) 사이트별 상이한 패스워드 만들기

ㅇ 기본 문자열을 설정한 후 사이트별로 규칙을 사용하여 변칙 

     (예) 구글은 기본문자열에 go 추가, 다음은 dm 추가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