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과 신분증을 분실하셨나요? 아무리 바쁘시더라도 분실 사실을 인지한 즉시 가까운 읍·면사무소, 동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정부24에서 분실 신고를 하셔야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방법은 아래 바로가기를 클릭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신분증 분실 신고를 하고 나면 행정자치부 전산망에 등록되어 계좌 개설, 카드 재발급 요청이 들어올 경우 금융사에서 신분증 분실 사실을 확인하고 도용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분증을 회수하거나 재발급받은 이후에도 이미 내 개인정보를 알게 된 누군가가 도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또한 예기치 못하게 보이스피싱을 당한 경우에도 개인정보를 악용하여 신용카드를 발급받거나 대출을 신청할까봐 피해자는 계속 노심초사해야 합니다.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만으로는 금융 거래가 어렵지만, 다른 경로를 통해 추가로 정보가 유출된다면 충분히 악용될 수 있습니다.
이에 금융감독원에서는 개인정보 노출 사실이 은행, 증권사, 저축은행, 보험사, 카드사에 실시간으로 전파되는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개인정보 노출 사실을 등록하면 금융사의 영업점 단말기에 '본인 확인 주의'라는 문구가 게시됩니다. 이를 확인한 금융사 직원은 신규 계좌 개설, 신용카드 발급 요청이 오면 본인 확인 절차를 강화하여 상세 정보를 추가 확인하고 일부 금융 거래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금융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일이나, 본인조차도 금융거래를 하기가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철회 신청도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은행 영업점 방문하여 등록하기
가까운 은행의 영업점에 방문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친 뒤 개인정보 노출사실 전파 신청서를 접수합니다. 상당 기간이 경과한 후 명의도용의 우려가 해소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시 은행에 방문하여 노출사실 전파 해제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온라인으로 등록하기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 사이트에 접속하여 개인정보노출 사실을 등록합니다.
◎ 유의 사항을 읽고 확인란에 체크합니다. 실시간 전파 가능 기관 목록을 클릭하여 본인이 사용하는 금융기관이 모두 포함되어있는지 미리 확인합니다.
◎ 기타 고지사항을 확인하고 등록 및 해제신청을 눌러 접수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본인인증 후 접수가 가능합니다. (휴대폰, 아이핀, 공동인증서 중 택 1)
◎ 인증 후 이동 페이지에서 등록 사유 선택 후 신청을 완료하면 됩니다!
◎ 접수 완료 후 금융감독원과 금융사에서 노출사실 등록 및 거래 제한 관련 알림톡이 옵니다.
해제 신청도 동일 사이트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개인정보 유출 시 즉시 사고예방시스템을 이용하여 더 큰 사고를 예방하시기 바랍니다!